캐나다 라이프/캐나다 세금정보38 캐나다 국세청에 신고해야할 해외인컴의 종류는 무엇일까? 2023년도 이제 한 달도 남지 않았습니다. 새해가 밝아오면 다짐할 새도 잠시고 2월 말부터 캐나다 인컴택스 보고기간이 시작되는데요. 매년 하는 보고지만 어떻게 하면 절세를 할 수 있는지, 혹시라도 내가 빼먹고 있는 부분은 없는지 체크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신고해야 할 부분을 누락해서 추후 국세청으로부터 리뷰나 과중세금을 물어야 할 수도 있으니까요. 캐나다에 거주하고 있는 사람은 누구나 캐나다 외에서 벌어들인 소득을 캐나다 국세청에 보고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오늘 포스팅에서는 캐나다 인컴택스보고 시 신고해야 할 해외인컴의 종류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근로소득(Employment Income) 캐나다 밖 해외에서 근로소득으로 발생한 소득이 있다면 이는 신고대상입니다. 여기에는 급.. 2023. 12. 8. 캐나다 세금보고 : 렌탈 인컴(임대소득) 신고하기 캐나다 콘도 소유자의 60% 이상이 직접 거주하는 오너가 아닌 투자자라고 합니다. 그만큼 렌트 수요가 지속적으로 높아지는 이유인데요. 오늘은 캐나다 세금보고 시 렌털 인컴은 어떻게 보고하는지, 사용할 수 있는 비용은 무엇인지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캐나다 렌탈인컴 신고 가이드 바로가기 렌털 인컴(Rental income)의 종류렌털 인컴의 경우는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오너가 거주하지 않고 임차인(테넌트)만 거주하는 전체 렌트오너와 임차인이 함께 거주하는 부분 렌트임차인이 유닛의 일부를 렌트하는 서브리스 위의 3가지에 해당하는 렌털 인컴은 모두 캐나다 인컴보고 시 보고 대상이 됩니다. 임대인(랜드로드)은 임차인으로부터 받은 렌트비를 보고해야 하며, 렌트비를 지불한 임차인(테넌트)도.. 2023. 11. 19. 한국으로 귀국 후 캐나다 세금 보고 해야할까? (비거주자 신고) 워킹 홀리데이나 유학 또는 이민을 목표로 캐나다에 거주를 하다가 한국으로 완전히 귀국하는 분들이 많이 계신데요. 캐나다에 거주하는 동안에는 세금보고의 의무가 있는 것을 알기에 당연히 보고를 하지만, 한국으로 귀국한 뒤에 세금보고를 꼭 해야 하는지, 해야 한다면 한국에서 어떻게 보고를 할 수 있는지 많이들 궁금해하실 것으로 같아서 오늘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캐나다 비거주자 신고캐나다에서 더 이상 거주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비거주자 신고라고 불리지만, 사실상 비거주자 신고는 따로 없고 매년 하는 세금신고 시에 캐나다에서 출국한 날짜를 넣어서 보고를 하면 자동으로 비거주자 신고가 됩니다. 신고기간은 매년 똑같은 2말 말에서 4월 30일까지입니다. 비거주자 신고를 해야 하는 이유캐나다에서 출국한 날짜를 .. 2023. 11. 1. 캐나다 증여세, 상속세는 얼마일까? 자녀들과 함께 캐나다로 이민을 오신 분들은 영주권과 시민권을 받고 정착을 하게 됩니다. 오랜 기간 지내다 보면 자연스럽게 자녀들에게 재산을 상속하게 될 상황이 생기는데요. 한국과는 다르게 캐나다에서는 증여세와 상속세가 없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확실히 알기 위해 캐나다의 증여세와 상속세에 대해 더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증여세 (Gift Tax)증여세는 캐나다에서 선물로 받은 재산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일반적으로 가족 간에 선물을 주고받을 때 증여세를 내지 않아도 됩니다. 그러나 일부 특수한 경우에는 증여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비가족 간에 큰 가치의 재산을 선물로 주거나 받을 때, 증여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캐나다 증여세는 연방 세법에 따라 규제되며, 비과세 선물 한도를 초과하는 .. 2023. 10. 17. 캐나다 입국 후 첫 세금보고 하기. 코로나 사태가 어느 정도 정리가 되고 캐나다 입국제한이 완전히 풀리면서 미루었던 유학 혹은 이민을 오시는 분들이 많이들 계실 텐데요. 캐나다 입국 후 처음으로 세금보고(Income Tax Return)를 하시는 분들이 궁금해하실 만한 점들을 포스팅해보고자 합니다. 캐나다 소득이 하나도 없는데 세금보고를 해야 하나요? 보통 캐나다에 입국을 하실 때에 신분이 워킹 홀리데이, 학생비자, 워킹비자 등입니다. 학생비자일 경우 소득이 하나도 없는 것은 당연하고, 워킹비자나 워킹 홀리데이 비자라고 하더라도 처음에는 적응기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소득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 부분에서 소득이 없기 때문에 캐나다 세금보고 대상자에서 제외된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그러나 캐나다에 합법적으로 거주할 수 .. 2023. 9. 26. 캐나다 자영업자 경비처리 및 세금신고 방법 캐나다에서도 한국처럼 간이과세자 자영업자로 세금을 신고하는 분들이 많으십니다. 캐나다에서는 sole proprietorship 혹은 self-emplyed라고 합니다. 세금신고 시에는 self-emplyed라고 더 표현을 많이 합니다. 일반 근로소득의 경우 한국과 같이 CPP(국민연금), EI(고용보험), Income Tax(소득세) 글 공제해서 실수령을 받고, T4라는 이름의 근로소득원천징수 영수증을 회사로부터 받게 됩니다. 많이들 아시는 것과 같이 캐나다의 세율을 어마어마합니다. 최저 15%에서 최고 33%의 세금을 내야 하는데요. 이러한 세율 때문에 절세에 대해 꼭 알아두실 필요가 있습니다. 특히 self-employed 소득을 가지고 계신 분들이라면 더욱 경비처리 및 절세에 대해 꼼꼼히 알.. 2023. 9. 24. 캐나다 해외 자산/소득 신고: 한국 재산도 신고해야 되나요? 처음 캐나다에서 세금신고를 하시는 분들 중 한국에 있는 재산을 신고해야 될까 고민하고 계신 분들이 많을 실 텐데요. 한국에 있는 재산에 대한 재산세가 부과되는지, 세금 신고를 왜 해야 하는지, 하지 않으면 어떤 불이익이 발생하는지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도움 되는 글 캐나다의 해외자산 및 소득 신고 알아보기(T1135) - 올 어바웃 캐나다캐나다의 해외자산 및 소득 신고에는 어떤 종류가 있는지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캐나다의 연말정산인 소득세보고가 시작되었습니다. 2024년 2월 20일부터 4월 30일까지 2023년의 소득세를 보고all-about-canada.com 캐나다 입국 후 첫 해보고 시에는 해외 자산 신고가 면제되지만 두 번째 해부터는 신고을 꼭 하셔야 합니다. 해외자산 .. 2023. 9. 22. 여행 숙박비로 2022년 인컴택스 절세 받자. (Ontario Staycation Tax Credit) 코로나 규제가 풀리면서 발이 묶여있던 사람들이 너도나도 여행을 계획하거나 떠나고 있다. 공항은 출국하려는 사람들로 연신 인산인해를 이루고 있다며 뉴스에서 난리다. 주위에도 미뤄두었던, 팬데믹으로 가지 못했던 한국으로 방문하는 사람들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고, 국외로 가지 못하는 사람들도 in Canada라도 여행을 많이 떠나고 있다. 나부터도 올해는 몇 년간 제대로 가보지 못한 여행을 위해 계획을 세우고 있는데, 호텔을 알아보다가 Ontario Staycation tax credit이라는 글을 보게 되어 도움이 될까 싶어 간단한 포스팅을 해본다. 온타리오주에서는 2022년 안에 온타리오 주안에 있는 숙박업체를 이용한 사람들에게 절세 혜택을 제공한다고 한다. 다른 주로 여행 계획을 세우고 있는 나에겐 조.. 2022. 5. 11. 이전 1 2 3 4 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