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시민권신청을 본격적으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온라인으로 신청을 할 예정이라 모든 서류를 준비하고 스캔한 뒤 업로드를 해야 하는데요. 캐나다 시민권 신청 시 18세 이상 어른의 경우 한국정부에서 발급하는 서류가 따로 필요하지 않지만, 한국에서 태어난 미성년자녀가 있는 경우에는 몇 가지 서류가 필요합니다. 바로 기본증명서와 가족관계증명서인데요.
이 서류를 발급받으려면 정부 24 사이트를 이용해야 하는데, 공동인증서로 로그인해서 발급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캐나다 시민권 신청 과정과 구비서류 알아보기
영주권을 취득한 지도 벌써 3년 반이 지나가면서 내년이면 갱신을 준비해야 될 때가 왔습니다. 저희는 계속 캐나다에서 거주할 계획이라 5년마다 갱신해야 하는 영주권보다는 시민권을 취득하
sweet-adult-playground.tistory.com
부모 공동인증서로 정부 24 로그인하기
저는 캐나다에 거주하기 때문에 직접 구청이나 동사무소에 방문할 수가 없어서 한국에 있는 가족들에게 서류를 부탁하기도 번거롭고, 온라인으로 모두 발급이 가능해서 공동인증서로 발급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미성년자녀일 경우에도 자녀의 공동인증서를 발급받아서 서류를 제출해야 하는 것으로 알았는데, 부모의 공동인증서로 로그인해서 가족의 민원처리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1. 정부 24 사이트에 부모 공동인증서로 로그인하기
2. 필요한 민원 선택하기
몇 년 만에 들어간 정부 24 (구 민원 24) 사이트인데 이렇게 많은 서류 발급이 가능해졌네요. 인터넷으로 출생, 개명, 국적상실 신고까지 가능하다니 나중에 시민권을 받고 나면 국적상실 신고까지 해봐야겠습니다.
3. 발급 대상자 선택하여 신청하기
신청은 정말 간단했습니다. 공동인증서로 로그인 후 본인 혹은 가족을 선택하여 대상자를 클릭하면 되는데요. 예전에도 발급을 받아보았지만, 부모와 배우자, 자녀까지 가능한지 몰랐습니다. 증명서도 가족관계증명서부터 기본증명서, 혼인관계증명서 등 다양하게 발급이 가능하네요.
이렇게 발급을 받으면 인쇄 혹은 저장으로 선택을 하시면 간단하게 발급처리가 됩니다. 그런데 가족관계증명서는 영문증명서로 발급이 가능하지만 기본증명서는 영문으로 발급이 되지 않네요. 시민권 신청 시 영문으로 서류가 필요한데 아무래도 영문공증을 받아야 될 것 같습니다. 영문공증을 받게 되면 나중에 포스팅을 따로 하겠습니다.
미성년자 자녀가 있으신 분들은 자녀의 방문 없이도 부모의 공동인증서로 서류가 발급이 가능하니 편하게 이용해 보시길 바랍니다.
가족관계증명서, 기본증명서 아포스티유 온라인 인증 5분만에 받는법 - All about Life
몇몇 해외에 정부기관에서 발행한 문서를 제출하기 위해서는 아포스티유 인증을 받아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족관계증명서, 기본증명서의 인증을 온라인으로 5분만에 바로 받는 법을
all-about-canada.com
'생활정보 > 생활 꿀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학생 해외송금 지정은행 등록하는 방법 (2) | 2024.01.05 |
---|---|
유튜브 프리미엄 캐나다 가격과 해지 방법 (1) | 2023.12.31 |
대한항공 소멸 마일리지 사용하기 (1) | 2023.11.29 |
2024 국회의원 선거: 국외부재자 신고와 재외선거 기간. (0) | 2023.11.18 |
음주운전 처벌 강화: 차량 내부 음주측정기 설치 (1) | 2023.11.15 |